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해와달이 사는 집

휴일 오후 짧은 시간에 다녀온 경주 외동 아기봉산 본문

◈ 산행이야기/☆ 2022년도 산행

휴일 오후 짧은 시간에 다녀온 경주 외동 아기봉산

해와달^^* 2022. 9. 18. 23:30

♣ 산행일자 : 2022. 09. 18  날씨 - 맑은 후 흐림

♣ 산행장소 : 경주 외동읍 일원

♣ 산행인원 : 나홀로...

♣ 산행코스 : 수곡사 주차장-태평사 갈림길(삼각점)-구어리 갈림길-운동기구 쉼터-건국사갈림길-아기봉산(236m)-아기봉(아암)-연안리갈림길-건국사-건국사 주차장-철계단-능선-묵은 임도-삼거리갈림길(기존 수곡사 등로 합류)-태평사갈림길(삼각점)-수곡사주차장

♣ 산행시간 및 소요시간 : 2시간 12분, 3.6km ( 짧은 식사 및 휴식 포함. GPS 기준)

 

 

 

◈ 산행기

지난 추석 연휴에 인천 영종도에 있는 딸네집으로 역귀성을 하느라 다녀오지 못한 부모님과 숙부님이 잠들어 계시는 대전 현충원을 찾아 늦은 성묘를 하고 대전 유성구의 유명 맛집을 찾아 번호표를 받아가며 기다린 끝에 점심을 해결한 뒤 근처 유성온천의 족욕체험장에서 그동안 혹사를 당했던 두 발을 온천수로 족욕해주고 귀로에 오르기 전 전국 3대 빵집에 속한다는 '성심당 대전컨벤션센터점'을 찾아 수많은 사람들 틈바구니에서 인기가 높은 빵들을 몇 가지 사서 갈무리하고서 집으로 돌아오니 어느 새 저녁이 되어 구매해 온 빵과 우유로 간단히 저녁을 해결하고 느지막히 잠자리에 들었더니 모처럼 늦잠을 자는 바람에 산행을 가야하나 말아야 하나를 잠시 고민하다가 그래도 이번 주라고 빠질 수 는 없는 일이라며 빵 몇 개와 과일 조금 챙겨서 정오가 다 된 시각에 집을 나섭니다.

집을 나서면서 행선지는 마음속으로 이미 정해놓았으니 망설임없이 경주방면으로 차를 몰아 보문관광단지 입구를 지나 배반네거리에서 울산 방면으로 길을 들어 지금은 폐역이 된 불국사역 앞을 지나 7번 국도를 계속 따르다 괘릉으로 알려져 있는 원성왕릉도 지나고 외동읍소재지인 입실을 지나면 우측 멀리 나지막한 야산 하나가 시야에 들어옵니다.

산 정상부에는 제법 큼직한 바위 군락이 솟아있어 한 눈에 보아도 범상치 않음을 느낄 수가 있는데 저곳이 오늘 찾아가게 될 아기봉산입니다. 오래 전부터 소문을 들어 알고는 있었지만 산행 시간이 짧은 곳이다보니 경주 지역에 있어도 쉽게 찾아지질 않아 지금껏 미루어 두었던 곳이었는데 조금은 먼 곳이지만 오늘 아니면 또 언제 찾을 수 있겠나 싶어 마음 다잡고 찾은 곳이랍니다.

입실 입구를 지나 조금 더 나아가면 육교 하나를 만나게 되는데 우측으로 '순금2길'이라는 이정표와 입구에 '소래정 오리본가'라는 식당이 있어 참고를 하면 될 듯 싶네요. 큰 도로인 7번 국도에서 우측으로 꺾어 들어가면 작은 다리인 '입실 3교'를 건너게 되고 곧바로 좌측으로 나있는 도로를 따라가면 건국사 입구를 지나 수곡사를 알리는 이정표를 따라가면 언제나 찾아오는 중생을 반겨주려는 듯 커다란 빗돌이 빗장을 풀고 서있는 주차장에 도착을 하게 됩니다.

널찍한 주차장에 주차를 해놓고 등산로 입구를 알리는 이정목을 카메라에 담으며 오늘의 걸음을 시작합니다.

 

산행궤적
큼직한 빗돌 2개가 입구에 서있는 수곡사 주차장.
수곡사 빗돌 뒤쪽으로 등산로 입구를 알리는 이정표를 따라 산행은 시작됩니다.
'고마리'
걷기 좋은 솔숲길을 따라 잠시 발걸음을 떼어가니
등산로임을 알리는 작은 팻말이 있는 곳에서 좌측으로 보이는 작은 목교를 건너게 됩니다.
목교를 지나면 등로는 살짝 오름으로 이어지고
삼각점이 있는 태평사 갈림삼거리도 지나게 됩니다.
나지막한 산에 커다란 바위들이 듬성듬성 나타나니 홀로 걷는 산길이 심심하진 않네요.
구어리 갈림길.
조망바위 위에 올라가 바라본 외동읍 전경과 그 뒤로 뻗어나가는 삼태지맥 마루금.
두 번째 구어리갈림길이 있는 체육시설과 쉼터. 이곳에서 간단하게나마 빵과 음료로 곡기를 때웁니다.
건국사갈림길.
등로 좌측 시야가 트이는 곳에서 바라본 냉천지방산업단지. 멀리 치술령과 묵장산이 보이네요.
숲 너머로 보이는 아기봉(아암). 규모가 제법 커 보입니다.
아기봉 바위군락을 만나기 전에 2개의 코팅지가 정상석을 대신하고 있는 아기봉산의 정상을 만나게 됩니다.
그동안 차일피일 미루어 두었던 아기봉의 랜드마크인 아암 앞에 드디어 서게 되었네요.
아기봉 전설 안내판.

 

아기봉산 '아암'에 내려오는 전설

임신한 선녀가 천상에서 쫒겨나 아기봉의 석굴에서 몸을 풀고 사내아이를 낳았다. 아이는 삼칠일만에 일어나 걸으며 말을 하고 바위를 메고 산봉우리를 뛰어 올랐다고 한다. 아기 장수의 소문은 임금 귀에 까지 들어갔고 임금은 아이가 커서 지신의 자리를 탐할지도 모른다는 걱정에 군사를 보내 아이를 죽여 포대기에 싸서 밧줄로 꽁꽁 묶어 끌고 가려고 했다. 아이는 돌로 변하고 선녀는 돌이 된 아기 위에서 숨을 거두었다.

 

이정표 뒤쪽 바위에 매여있는 밧줄을 부여잡고 올라서니 바위구멍이 있는데 배낭을 매고 들어가긴 협소한 것 같아 카메라만 들고 안으로 들어가니
커다란 바위들이 서로 지탱을 하고 있는 아래쪽에는 이렇게 큰 공간이 있네요.
앞으로 계속 나가보니 북쪽의 조망이 트이는데 좌측 마석산과 우측의 토함산 사이로 경주 외동지역의 풍경이 펼쳐지는군요.
다시 바위 사이의 공간으로 되돌아 널찍한 바위에서 주변을 돌아 보기로 합니다.
전설상의 아기가 지고 다녔다는 돌에는 밧줄을 두른 자국이 남아있고
밧줄이 드리워져 있지만 오르기가 쉽지 않아 포기를 하고 광각으로 담아봅니다.
탯줄을 끊고 아기를 씻겼다는 돌대야.
불국동과 토함산 방향.
외동읍 입실리 방향.
남쪽으로 울산광역시 북구 호계 방향.
파노라마.
때마침 올라온 산객이 있어 한장 건질 수 있었네요.
아기바위 뒤쪽으로 돌아드니 또다른 모습이 연출되는데 산의 높이에 비해 정상부의 바윗덩이의 규모가 상당하네요.
건너편으로 또다른 바위가 있어 드리워진 밧줄을 부여잡고 내려서니
바위 아래쪽으로 공간이 하나 있는데 '입실 클라이머'들의 쉼터로 쓰이나 봅니다.
아기봉 전설 안내판이 있는 안부로 되올라와 이정표의 건국사 방향으로 하산을 시작하니 연안리 갈림 이정표를 만나게 되고
건국사 방향으로 길을 들어 숲길을 따라간 허름한 막사가 골짝 안에 자리하고 있는 심신암을 지나게 되고
마사토로 된 등로가 조금은 미끄러운 내리막길에 시그널 몇개가 달려있는 우측으로 내려서면
적막하기 이를 데 없는 건국사 경내로 들어서게 됩니다.
건국사에서 바라본 외동읍 전경.
건국사를 나와 도착한 주차장. 도로를 따라가면 수곡사로 편안하게 갈수 있지만 딱딱한 길을 걷기 싫어 맞은편 철계단을 올라 숲으로 다시 들어가기로 합니다. 앞서 가는 이는 아기봉에서 사진을 찍어준 분으로 수곡사까지 간다기에 함께 하기로 했답니다.
준비해간 궤적을 따라 진행하니 등로는 다시 산으로 오르기 시작하고
인적없는 묵은 임도를 따라 덤불을 헤쳐가니 뒤처져 따라오는 산객에게 미안한 마음도 드네요.
부서진 이정표가 나뒹구는 묵은 임도를 지나가면 아기봉을 향한 등로와 다시 합류를 하게 되고
삼각점이 있는 태평사 갈림길을 지나게 됩니다.
삼각점(130봉)
이후 걸어왔던 길을 되짚어가니 산행을 시작했던 들머리에 서게 되고
수곡사를 찾아 멀리서나마 편안한 분위기의 경내를 담아내고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수곡사에는 조금은 특별한 사연이 있다고 하는데, 그 내용은

일제시대 때 일본 미쓰비시사에 강제징용되었던 징용자들이 해방을 맞이하여 1945년 10월 11일 귀국선을 타고 돌아오다가 큐슈섬과 대마도 사이에 있는 이끼섬 부근에서 태풍을 만나 배가 침몰하며 탑승했던 징용자 168명 전원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합니다.
이 일을 가엾게 여긴 이끼섬 아시베항에 위치한 천덕사 주지 니시다니 도구린 스님께서 사고 이듬 해부터 매년 11월 18일 위령제를 모셔왔다고 하네요. 1987년 수곡사 주지스님이 이 소식을 듣고 감사패 전달 후 위령패를 외동 수곡사에 옮겨와 지금까지 격년제로 위령제를 모시고 있다고 합니다.

 

'꽃무릇'
된장이 이름나다는 사실을 알려주기라도 하는 듯 많은 장독대가 눈길을 끄는 수곡사를 빠져나와 귀로에 오릅니다.

 

 

 

 

 

 



Comments